초록

본 연구는 진로 목표를 결정하고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총 25개 상위범주와 73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과적 조건, 중심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의 범주 구조로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범주 간의 연결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과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을 도출하고 진로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의 혼란과 의심이라는 중심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진로 재탐색-재결성 과정은 진로 목표에 대한 자기결정성 정도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은 혼란-유지 또는 포기-재탐색-재결정-결정 내면화의 과정을 거친 것을 알 수 있다. 개인 간의 변화 흐름은 초기 진로 목표 유지, 초기 진로 목표 범위 내에서의 세부적 수정, 새로운 진로 목표 설정 세 가지 형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의 사전-사후 CDDQ 검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키워드

조기 진로 목표 결정, 대학생, 진로 재탐색, 진로 재결정, 탐색기 소순환, 근거이론

참고문헌(29)open

  1. [학술지] 고홍월 / 2008 / 한국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성숙수준과의사결정 상태와의 관계 / 상담학연구 9 (1) : 147 ~ 164

  2. [학술지] 고홍월 / 2009 /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 우선순위에 대한 고찰 / 상담학연구 10 (4) : 2207 ~ 2224

  3. [학술지] 공윤정 / 2014 /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진로적응 관련 요인 / 進路敎育硏究 27 (1) : 1 ~ 18

  4. [학술지] 공윤정 / 2014 / 외적 동기로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진로적응과정 / 상담학연구 15 (5) : 1771 ~ 1789

  5. [단행본] 김봉환 / 2013 / 진로상담(상담학 총서 6) / 학지사

  6. [단행본] 김봉환 / 2005 / 학교진로상담 / 학지사

  7. [단행본] 김아영 / 2010 / 학업동기 : 이론 연구와 적용 / 학지사

  8. [학술지] 김우리 / 2014 /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육심리연구 28 (2) : 333 ~ 352

  9. [학술지] 박고운 / 2007 / 진로결정자율성수준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 (2) : 409 ~ 422

  10. [단행본] 박승민 / 2012 /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 학지사

  11. [학위논문] 선혜연 / 2008 / 청소년기 진로의사결정에서 부모의 관여 방식

  12. [학술지] 이민희 / 2008 / 자기결정이론을 토대로 한 학습동기 경로 모형 검증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 (1) : 77 ~ 99

  13. [학술지] 이예진 / 2010 / 진로동기수준에 따른 군집 유형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 자기결정성 이론을 바탕으로 / 직업교육연구 29 (2) : 267 ~ 287

  14. [학술지] 임선아 / 2013 / 진로정체감이 성취목표, 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경로분석 / 청소년학연구 20 (1) : 47 ~ 67

  15. [학술지] 임은미 / 2011 / 대학생의 진로결정 과정과 개입요인 탐색 / 상담학연구 12 (2) : 447 ~ 466

  16. [학술지] 황매향 / 2013 /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2 (3) : 675 ~ 699

  17. [학술지] Creed, P. / 2009 /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person and situation variables, and career concerns in young adults /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74 (2) : 219 ~ 229

  18. [단행본] Creswell, J. W. / 2010 /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 학지사

  19. [단행본] Deci, E. L. / 1985 /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 Plenum

  20. [학술지] Dietrich, J. / 2009 / Career-specific parental behaviors in adolescents’ development /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75 (2) : 109 ~ 119

  21. [학술지] Dietrich, J. / 2011 / Parents’ role in adolescents’ decision on a college major : A weekly diary study / Journal of Vacational Behavior 79 (1) : 134 ~ 144

  22. [단행본] Gottfredson, L. S. / 1996 /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Jossey-Bass : 179 ~ 232

  23. [학술지] Guay, F. / 2006 / Distinguishing developmental from chronic career indecision : Self-efficacy, autonomy, and social support /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 (2) : 235 ~ 252

  24. [단행본] Hamilton, N. G. / 1988 / Self and others: object relations theory in practice / Jason Aronson

  25. [학술지] Ryan, R. M. / 2000 /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 Com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 (1) : 54 ~ 67

  26. [학술지] Ryan, R. M. / 2000 /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 American psychologist 55 (1) : 68 ~ 78

  27. [단행본] Savickas, M. L. / 2002 /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Jossey-Bass : 149 ~ 205

  28. [단행본] Super, D. E. / 1990 /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 Jossey-Bass : 197 ~ 261

  29. [학술지] Waterman, A. S. / 2004 / Finding someone to be : Studies on the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in identity formation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ory and research 4 (3) : 209 ~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