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동사 이름대기 검사를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검사 문항을 선정하고 비대면 유무 및 자극 제시 유형(애니메이션 vs. 연속 그림)에 따른 동사 논항 별 수행력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검사에 사용될 동사 문항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내 동사 관련 논문 및 한국어 어휘 빈도를 참고하여 총 99개의 동사를 1차적으로 선정한 뒤, 검사 문항 일치도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36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동사는 자극 제시 유형에 따라 애니메이션과 연속 그림 자극으로 제작되어 연구에 사용되었다. 총 197명의 정상 청년층 집단은 자극 제시 유형에 따라 100명은 애니메이션 자극, 97명은 연속 그림자극으로 배치되고, 비대면 유무에 따라 대면 및 비대면 집단으로 각각 분류되어 동사 이름대기 검사에 참여하였다.
결과 : 동사 논항에 따른 정반응률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2항 동사가 1항과 3항 동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행력을 보였다. 그 외의 비대면 유무 및 자극 제시 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대면 및 비대면 집단 간 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에 따른 이차 및 삼차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비대면 유무 및 자극 제시 유형은 동사 이름대기 검사 수행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동사 이름대기 검사는 상황에 따라 비대면 유무 및 자극 제시 유형을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의 비대면 언어 평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발판을 제공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ction naming test an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test according to the assessment modality (online vs. offline) and the stimuli presentation type (animation vs. sequence picture).
Methods : To select the verb items used in the test, a total of 99 verb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Ultimately, 36 i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verb agreement study. The 36 verb items were produced by presentation type for animation and sequence picture stimuli. A total of 197 normal young participants were assigned 100 for animation and 97 for sequence picture stimuli and they were again classified into an online and offline group according to the assessment modality. We analyzed the accuracy rate produced by each group in the test.
Results : The main effect for verb argu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wo-place verbs having a higher rate than one- and three-place verb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ne- and three- place verbs. In addition, two-way interaction between assessment modality and presentation type, and a three-way interaction between assessment modality, presentation type, and argument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The results show that assessment modality and stimuli presentation type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test. We suggested that the action naming tes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assessment modality and presentation type of stimuli, making it useful in clinical settings. Our study is also meaningful in providing guidelines for developing an online language assessment system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참고문헌

참고문헌 (3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