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가족 돌봄자의 노인 돌봄노동시간 및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Elderly Care work Hours and Stresses in Care work among Family Caregivers

여성연구
약어 : 여성연구
2007 vol.1, no.72, pp.31 - 72
DOI : 10.33949/tws.2007.1.72.002
발행기관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분야 : 여성학
Copyright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26 회 열람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자의 돌봄노동시간과 돌봄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돌봄대상노인과 동거하면서 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자이다. 또 돌봄자와 노인의 관계는 노인의 배우자, 며느리, 친자녀로 한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 분석을 하였으며 돌봄노동시간과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특히 돌봄노동시간은 1일 총돌봄노동시간과 가사활동제외돌봄노동시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일 총돌봄시간은 비취업자일수록, 노인의 연령이 낮을수록, 또 부돌봄자가 없는 경우 더 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가사활동제외돌봄노동시간에 대해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는 돌봄자의 연령, 취업여부, 노인의 연령 변수이다. 돌봄스트레스의 경우 건강상태만이 7개의 모델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소득은 일부 모델에서 유의미하였다. 또 돌봄이후 노인과의 관계에 대한 돌봄자의 주관적인 만족도와 돌봄비용에 대한 경제적 부담 정도가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또 돌봄노동시간과 돌봄스트레스의 관계를 보면 돌봄노동시간이 길수록 돌봄스트레스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돌봄노동시간을 줄이기 위해 돌봄도우미 지원이, 돌봄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돌봄자의 건강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며, 돌봄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경제적 지원도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factors that affect family caregivers who looks after elderly total care work hours and care work stresses. The target analysis group was informal caregivers who cohabit with kin elderly. Also, explaining between care givers and care recipients were restricted only to spouse, daughter-in-law and children.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sed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affecting factors in care work stress and care work hours. Especially, care work hours were dividedly examined by total care work hours per day and care work hours excluding household choir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otal per day care work hours, it was unemployed, the age of the care recipients, and absence of co-care givers that showed proportionately affected total length of care work hours. Moreo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otal care work hours except household choirs were caregiver’s age, employment status and care recipient’s age. For care work stress, health condition affected through out all 7 models, household income was significant only in some of the models. It also showed that setting up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s and care recipients were important as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caregivers is considered an affecting factor of the caregiver’s stress. Degree of economic responsibility and care work hours also were considered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care work stress that length and intensity of burdens and hours aggravate care work stress. Based on the results, supporting caregivers to reduce working hours and in addition to alleviate caregivers’ stress, social aid in health and easing economic burden to help caregivers were proposed.

가족 돌봄자, 노인, 돌봄노동, 돌봄노동시간, 돌봄스트레스
family caregiver, elderly, care work, elderly care recipient, care work hours, care work stress

  • 1. [학술지] / 2004 /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 예측요인 / 24 (2) : 111 ~ 2
  • 2. [학술지] / 2004 / 일본 재가 요보호노인과 부양자간의 관계의 질과 부양자의 정신건강 / 24 (2) : 129 ~ 2
  • 3. [학술지] / 2007 /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노인 부양자의 스트레스 평가, 복지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27 (1) : 255 ~ 1
  • 4. [학술지] / 2005 / 치매노인 가족의 누적스트레스 영향요인 / 25 (2) : 195 ~ 2
  • 5. [학술지] / 1995 / 시부모 부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부양자원과 부양스트레스 인지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 13 (3) : 115 ~ 3
  • 6. [학술지] / 2001 / 가족(성인자녀)에 의한 노인부양의 종류와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전(원)가족관계 양상 분석 및 개입전략의 제시 / 47 : 206 ~
  • 7. [학술지] / 2007 /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배우자와 자녀 비교-. / 27 (1) : 195 ~ 1
  • 8. [학술지] / 2006 / 치매노인에 대한 부양형태별 부양스트레스 (347) : 163 ~ 347
  • 9. [학술지] / 1994 / 의 노부모 부양스트레스와 영향변인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 10. [학술지] / 2005 / 치매노인 부양자의 우울과 부양부담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도에 관한 연구 / 25 (3) : 329 ~ 3
  • 11. [학술지] / 2006 /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이용여부가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 26 (2) : 255 ~ 2
  • 12. [학술지] / 2000 / 치매노인의 기능장애 및 개인적 특성과 주부의 관련변인이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18 (2) : 203 ~ 2
  • 13. [학술지] / 2004 / 치매노인 부양주부의 가정자원이 부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42 (6) : 73 ~ 6
  • 14. [학술지] / 2005 / 가족내 돌봄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 연구
  • 15. [학술지] / 2006 / 가족내 돌봄노동실태조사
  • 16. [학술지] / 2005 / 2004년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 17. [학술지] / 2005 /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자율성이 가족수발부담에 미치는 영향 / 25 (1) : 103 ~ 1
  • 18. [학술지] / 2005 / 인구주택총조사
  • 19. [학술지] / California Department of Aging 내부자료.
  • 20. [학술지] / 2003 / European Study of Long-Term Care Expenditure
  • 21. [학술지] / 1994 / . Payments for Care-A Comparative Overview. European Centre Vinna
  • 22. [학술지] / 2004 / A Study of 10 States(10개 주) Since Passage of the National Family Caregiver Support Program: Polices, Perceptions, and Program Development / 44 (6) : 760 ~ 6
  • 23. [학술지] / 1992 / . The Costs of Informal Care
  • 24. [학술지] / 1993 / . Paying For Care Lessons From Europe. Social Security Advisory Committee Research Paper 5
  • 25. [학술지] / 2006 / Informal Caregiving at Working Ag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Family Configuration (68) : 411 ~ 68
  • 26. [학술지] / 2005 / Unpaid Carer’s Access to and Use of Primary Care Services : 101 ~
  • 27. [학술지] / 2004 / Review of Respite Services and Short-Term Breaks for Carers for People with Dementia
  • 28. [학술지] / 2001 / Trends in Informal Care in Great Britain During the 1990s / 9 (6) : 348 ~ 6
  • 29. [학술지] / 2004 / Congruence Between Disabled Elders and Their Primary Caregivers / 44 (4) : 532 ~ 4
  • 30. [학술지] / 1986 / . The Cost of Care Index A Case Management Tool For Screening Informal Care Providers. The Gerontologist
  • 31. [학술지] / 1990 / . Components of Burden
  • 32. [학술지] / 2004 / A New Typology of Home-Care Helpers / 44 (6) : 750 ~ 6
  • 33. [학술지] / 1994 / Opposite Sides of the Same Coin